1989년 태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1989년 태풍의 특징
- 3. 월별 태풍 발생 개수
- 4. 활동한 태풍
- 4.1. 제1호 태풍 위노나
- 4.2. 제2호 태풍 앤디
- 4.3. 제3호 태풍 브렌다
- 4.4. 제4호 태풍 세실
- 4.5. 제5호 태풍 닷
- 4.6. 제6호 태풍 엘리스
- 4.7. 제7호 태풍 페이
- 4.8. 제8호 태풍 고든
- 4.9. 제9호 태풍 호프
- 4.10. 제10호 태풍 어빙
- 4.11. 제11호 태풍 주디
- 4.12. 제12호 태풍 켄-롤라
- 4.13. 제13호 태풍 맥
- 4.14. 제14호 태풍 낸시
- 4.15. 제15호 태풍 오웬
- 4.16. 제16호 태풍 페기
- 4.17. 제17호 태풍 8917호
- 4.18. 제18호 태풍 로저
- 4.19. 제19호 태풍 사라
- 4.20. 제20호 태풍 팁
- 4.21. 제21호 태풍 베라
- 4.22. 제22호 태풍 웨인
- 4.23. 제23호 태풍 안젤라
- 4.24. 제24호 태풍 브라이언
- 4.25. 제25호 태풍 콜린
- 4.26. 제26호 태풍 댄
- 4.27. 제27호 태풍 엘시
- 4.28. 제28호 태풍 포러스트
- 4.29. 제29호 태풍 게이
- 4.30. 제30호 태풍 헌트
- 4.31. 제31호 태풍 어마
- 4.32. 제32호 태풍 잭
- 5. 같이 보기
- 참조
1. 개요
1989년 태풍은 총 32개의 태풍이 발생하여 평년보다 빈도가 높았으며, 7월과 8월에 태풍 발생이 집중되었다. 이 해는 여러 태풍이 필리핀, 중국, 베트남, 일본, 대한민국 등 아시아 각국에 큰 피해를 입혔으며, 특히 태풍 게이는 태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태풍으로 기록되었다. 1989년은 합동태풍경보센터가 가장 도전적이고 독특한 해 중 하나로 꼽았으며, 몬순 골짜기의 활성화와 열대 상층 대류권 골짜기의 영향으로 인해 특이한 기상 현상이 나타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89년 태풍 | |
---|---|
시즌 개요 | |
기상 시스템 발생 시작 | 1989년 1월 15일 |
기상 시스템 소멸 종료 | 1989년 12월 27일 |
총 열대 저기압 수 | 55개 |
총 열대 폭풍 수 | 32개 |
총 태풍 수 | 20개 |
총 강한 태풍 수 | 5개 (비공식) |
통계 | |
가장 강력한 태풍 이름 | 고든 및 엘시 |
최저 기압 | 915 hPa |
최대 풍속 | 100 노트 |
평균 풍속 | 10 노트 |
총 사망자 수 | 3,328명 |
총 피해액 | 22억 4천만 미국 달러 |
관련 시즌 | |
이전 시즌 | 1987, 1988 |
다음 시즌 | 1990, 1991 |
다른 시즌 | 1989년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 1989년 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1989년 북인도양 사이클론 시즌 |
경로 지도 | |
![]() |
2. 1989년 태풍의 특징
1989년에는 총 32개의 태풍이 발생하여 평년보다 발생 빈도가 높았다. 특히 7월과 8월에 태풍 발생이 집중되었는데, 이는 몬순 골짜기의 활성화와 열대 상층 대류권 골짜기(TUTT)의 영향으로 분석된다.[3] 태풍 고든은 TUTT 셀 아래에서 단일 뇌우로부터 형성되기도 했다.[3]
필리핀, 중국, 베트남, 일본, 대한민국 등 아시아 각국이 태풍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특히 태풍 고든, 태풍 주디, 태풍 사라, 태풍 게이 등은 심각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했다. 태풍 게이는 태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태풍으로 기록되었다.
6월과 9월 사이의 몇몇 태풍과 함께 내린 폭우는 안후이 성, 허베이 성, 후베이 성, 장쑤 성, 장시 성, 지린 성, 쓰촨 성, 저장 성의 중국 지역에 치명적인 홍수를 초래했다. 이 홍수로 약 3,00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고, 전체 피해액은 27억달러에 달했다.[4]
태풍 브렌다는 5월 중순, 태풍 도트와 열대폭풍 엘리스는 6월에 발생하였다.[3] 7월에는 7개의 열대 사이클론이 발달하여 1973년 이후 가장 활발한 7월이었다.[3] 8월에는 낸시, 오웬, 페기의 빠른 연속 발생으로 일본 남쪽에서 시스템들 사이의 여러 날 동안 이진 상호 작용(후지와라 효과)이 발생했다.[3]
다음은 태풍의 연간 발생 수와 태풍의 연간 일본 상륙 수를 나타낸 표이다.
발생 수가 많은 해 | 발생 수가 적은 해 | ||||
---|---|---|---|---|---|
순위 | 연도 | 발생 수 | 순위 | 연도 | 발생 수 |
1 | 1967년 | 39 | 1 | 2010년 | 14 |
2 | 1994년 1971년 | 36 | 2 | 1998년 | 16 |
4 | 1966년 | 35 | 3 | 2023년 | 17 |
5 | 1964년 | 34 | 4 | 1969년 | 19 |
6 | 1989년 1974년 1965년 | 32 | 5 | 2011년 2003년 1977년 1975년 1973년 1954년 1951년 | 21 |
9 | 2013년 1992년 1988년 1972년 1958년 | 31 |
상륙 수가 많은 해 | 상륙 수가 적은 해 | ||||
---|---|---|---|---|---|
순위 | 연도 | 상륙 수 | 순위 | 연도 | 상륙 수 |
1 | 2004년 | 10 | 1 | 2020년 2008년 2000년 1986년 1984년 | 0 |
2 | 2016년 1993년 1990년 | 6 | 6 | 2023년 2009년 1995년 1987년 1980년 1977년 1973년 1957년 | 1 |
5 | 2019년 2018년 1989년 1966년 1965년 1962년 1954년 | 5 |
(누적)
3. 월별 태풍 발생 개수
1
(1)0
(0)0
(0)1
(2)2
(4)2
(6)7
(13)5
(18)6
(24)4
(28)3
(31)1
(32)30년 평균[102]
1971년~2000년
(누적)0.5
(0.5)0.1
(0.6)0.4
(1.0)0.8
(1.8)1.0
(2.8)1.7
(4.5)4.0
(8.5)5.5
(14.0)5.0
(19.0)3.9
(22.9)2.5
(25.4)1.3
(26.7)